왜 그림이어야 했을까
왜 그림이어야 했을까
어렸을 때 나는 늘 힘들고 슬픈 감정에 휩싸여 있었던 것 같다. 그 감정들은 마구 쏟아져 내리는데, 어떻게 주워 담아야 할지 몰랐다. 그래서인지 감정을 풀어낼 수 있는 노래, 일기, 글, 그림 같은 것들을 참 좋아했다. 아니, 어쩌면 이 세상이 너무 버거워서 잠시나마 다른 세상을 꿈꿀 수 있어서 더 좋아했는지도 모른다. 나는 아마도 회피형 인간이었는지도 모른다.
10대 때 가장 행복했던 순간을 떠올리면, 입시 준비를 잠깐 하던 시절이 생각난다. 포트폴리오를 준비하면서 밤을 새우고, 나에 대해 고민하며 브레인스토밍을 하고, 그것을 작품으로 풀어내던 조용한 새벽 시간. 심야 라디오를 들으면서 혼자 작업하던 그때, 나는 정말 행복했다. 하지만 세상엔 너무 잘하는 친구들이 많았고, 나는 "순수하게 그림을 좋아하고 싶다"는 핑계로 또 도망쳤다.
20대에는 아르바이트를 하면서도 "평생 직업을 갖지 않아도 좋으니 그림만 그릴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렇게 그림을 사랑했다. 말도 안 되는 이야기지만, 나는 그저 순수함을 지키고 싶었던 것 같다. 그러나 30대가 되자 현실로 돌아와야만 했다. 경제적 활동을 위해 여기저기 부딪혔지만, 나는 조금 약하고 여린 사람이었다. 결국 아버지가 하신 "그림으로 어떻게 밥 먹고 살래?"라는 말이 틀리지 않았음을 알게 됐다. 그래서 경제적인 일에만 집중해보려 했지만, 그것조차 잘되지 않았다.
그러다 생각한 게 타로였다. 타로는 그림이 있으니까. 그리고 내가 좋아하는 이야기들을 타로를 통해 나눌 수 있으니까. 타로를 통해 그림과 내면을 연결해 누군가를 위로할 수 있다는 순수한 꿈도 가졌다. 하지만 이 또한 현실이라는 벽 앞에서 너무 쉽게 무너졌다. 돈이라는 개념 앞에 나는 늘 뜬구름 같은 꿈을 꾸고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지쳐버린 상태에서 나는 다시 묻는다. 왜 나는 자꾸 그림으로 돌아오는 걸까?
가만히 생각해보면, 우울이라는 감정과 너무 오랫동안 친구처럼 지내와서 그런 것 같다. 이 친구는 참 매번 나를 무너뜨리지만, 그때마다 억울하고 상처받은 내 자아가 어떻게든 누구라도 들어주길 바라며 자꾸 표현하려 한다. 위로받고 싶다고, 서로 징징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제 깨닫는다. 이런 삶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아니, 그렇겠지만… 그래도 살아가는 내가 아름답지 않아도, 멋지지 않아도, 어른답지 못해도, 아무 쓸모 없어 보여도… 만약 당신이 가는 길에 조금 지친다면, 내 무언가를 보고 잠시라도 위로를 얻고, 행복한 길로 나아갈 수 있으면 좋겠다.
나는 어느 순간부터 행복을 더 이상 바라지 않게 됐다. 행복은 내 기대를 만들고, 그 기대는 이루어지기 쉽지 않아 결국 절망으로 다가와 우울로 끝이 난다. 그래서 나는 이제 이렇게 말한다. 불행해도 괜찮다고. 실패해도 괜찮다고. 이 많은 사람들 중에 어떻게 모두가 행복할 수 있겠느냐고. 나의 이런 글이 조금은 패배자의 기록처럼 느껴질지 몰라도 이상할 건 없다고.
그러니 부디, 다들 행복하시길. 그리고… 뭐랄까. 나만큼은 나를 좀 예뻐해줬으면 좋겠다.